- 초등학생 교육 - 스키마와 독서와의 관계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은 스키마와 독서와 관계 입니다. 스키마는 좀 학문적인 의미가 강한데요. 여기 포스팅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적어보았습니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게 적은 만큼 내용이 심화적이지 않고 이해하기 쉽게 필요한 기초적인 설명으로 해보았는데요... 개인적으로 해석한 내용들이기에 오류가 있을수도 있다는점 참고해주시구요.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 달아주세요. 그럼 계속 설명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에게 '자동차'라는 단어를 제시해서 자유롭게 이야기를 하게 하면 학생들 마다 서로 다르게 이야기 할거에요. 어떤 학생은 자동차의 역사와 또 벤츠, 포드 같은 다양한 차종의 종류, 구동 방식, 정비 방법 등 다양하게 이야기하는 반면 어떤 학생은 부모님과 어떤 차를 타고 여행 다녀왔다는 이야기만 할겁니다. 왜 이렇게 다를까요?
서로 각자가 경험한 경험의 양과 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겠죠? 이렇게 각자가 갖고 있는 정보의 양이 서로 다른데요. 여기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정보의 양에 따라 학업 성취도(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온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에는 지능(IQ)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시각이 대세였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1970년대 부터 학습자(독자)의 머리 속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기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관련 대표 이론이 스키마 이론 입니다.
2. 스키마 (schema) 란?
스키마는 우리의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경험의 총체 라고 합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기억 속에 저장된 지식 이라고 하는데요. 이 용어는 영국의 바틀렛에 의해 심리학에서 처음 사용 되었고 유명한 피아제도 지식이 지식 구조인 스키마로 형성되어 있다고 생각해서 미국의 인지 심리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여기서 버틀렛의 실험을 요약 살펴보겠습니다.
버틀렛은 학생들을 두 집단으로 나눈 후 집이라는 제목이 붙여진 글을 읽게 하였는데요. A 집단에는 "나는 복덕방 주인"이라고 생각하면서 책을 읽게 했고, B 집단에는 "나는 도둑놈" 이라고 생각하면서 책을 읽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집단에서 자기가 읽은 내용을 적어보게 한 결과는 두 집단 학생들 모두 적은 내용은 서로 달랐다고 하는데요. A 집단 학생이 쓴 내용은 복덕방 주인이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을 중심으로 적혀있었고, B 집단이 쓴 내용은 도둑질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이 적혀 있었다고 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독서에 대한 시각이 바뀌었는데요. 독서란 작가가 써놓은 글을 수동적으로 읽는 행위가 아닌 독자의 스키마로 글을 해석하는 능동적인 행위라는 관점이 명백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요. 스키마를 도식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생각이나 행동의 조직된 패턴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이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일종의 시스템으로 (?) 이라고도 하는거 같은데요.
쉽게 말하면 사람은 정보를 이해하는데 있어 자신이 가진 하나의 도식 틀에 비추어 이해 한다고 보는거죠. 위에 설명한 본인의 기억 속에 저장된 지식들이 하나의 도식이라고 보면 되는 거 같습니다.
내가 복덕방 주인이면 복덕방에 필요한 관련 도식을 통해서 관련된 정보를 찾고 해석하겠죠.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듯합니다.
따라서 정리하면 스키마는 기억 속에 저장되어 있는 경험의 총체이기에 그 속에 생각이나 행동의 조직된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거 같습니다. 이거 제가 제대로 이해한건지 의문이 드네요.
이는 학자들마다 스키마에 대해 서로 정의하는 방식이 다양해서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기타로 여기에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라는 개념도 있는데요. 다른 분야의 개념이긴한데요. 이처럼 스키마에 대한 용어가 다양합니다. 골치가 아픈데요. 여기서는 참고만 해주세요.
3. 스키마와 배경지식 관계
다음은 배경지식인데요. 상당수 정보에서는 배경지식을 스키마와 동일시 합니다. 하물며 위에 언급된 스키마의 의미를 배경지식 의미를 똑같이 설명하기도 하네요.
배경지식이란 개념을 굳이 언급하자면
국어사전에서는 '어떤 일을 하거나 연구할 때 이미 머릿속에 들어 있거나 기본적으로 필요한 지식' 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초둥 국어 용어사전에서는 '내가 원래부터 알고 있었던 겅혐이나 지식'을 말한다고 설명합니다.
그런데요. 위키백과에서는 스키마는 배경지식이 아니라고 합니다. 대신 스키마와 배경지식은 일대일 대응 관계가 아닌 상하관계라고 설명하는데요. 아마 제 주관적인 해석에 따르면 스키마는 광의 개념이고 배경지식은 스키마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의미인거 같습니다.
이렇게 해석하지 않으면 왜 상하 관계인지 이해가 안되더라구요. 일단 여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네요. 제 주관적인 해석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잠시 다음으로 스키마적 독서를 넘어가기 전에 앞서 잠시 눈 운동을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제 포스팅 글 주변에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는지 한 번 둘러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가서 구경하셔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니 마음 편하게 안심하고 본인의 관심에 따라 보시면 되십니다.
4. 스키마적 독서
지식이 많은 사람이 배움에 있어 더 빨리 배운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는 머리 속에 존재하는 지식들이 습득하는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어떤 사람이 대상포진에 대해 공부를 하는데요. 자기가 대상포진에 걸려본 경험이 있거나 해당 환자를 본적 있는 경우와 그런 경험이 없는 사람이 대상포진을 학습하는데에 있어 차이는 클겁니다. 전자가 이미 경험이 있고 그전에 의사가 환자에게 처방하는 과정을 보았을거니깐요. 반면에 후자는 경험이 없어서 처음부터 대상 포진에 대한 정보를 머릿속에 기록해야하니 쉽지 않겠죠?
그러므로 초등학생 교육에서 학생들은 독서를 할 때 스키마적 독서를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련된 수많은 정보들을 경험하는게 중요하겠지요.
이렇게 다양한 경험과 지식 습득을 통해서 스키마를 축적했다면 여기서 새로운 정보를 공부하게 되면 기존의 스키마 도식에 근거하여 연결 지으면서 해석을 시도하면서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렇게 습득하는 정보들을 기존의 스키마들과 연결지으면서 더 탄탄하게 기억할 수 있게 되는거죠.
이는 융합적 사고를 추구하는 STEM 교육, 즉 스팀 교육 에도 적합한 방식이 될겁니다. 스팀 교육이란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통들어 합한 용어로 융합적 사고와 실생활 문제해결력을 가진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데요. 여기에 스키마적 독서 방식이 중심적이면서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5. 정리하며....
이처럼 개인의 기억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경험과 지식의 총체인 스키마는 우리가 살아가는데에 있어, 교육에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버틀렛의 실험에서도 드러난 바와 같이 개인의 스키마가 독서나 학습을 하는 과정에 있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또한 학생이 앞으로 지식을 잘 습득해 나갈 것인지 여부를 예상할 수 있게 해주니깐요.
그런데 이러한 스키마는 배경지식과 일대일 대응인지 상하관계인지 서로 혼란이 있는 개념이기도 합니다. 이는 스키마에 대해 설명하는 많은 정보들이 스키마와 배경지식과 동일시하는 관점이 많기 때문인데요. 이와 다르게 상하 관계라는 관점으로 보는 정보가 있다는점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스키마는 학생이 정보를 습득하는데에 상당히 중요한 작용을 하는 만큼 스키마를 활용한 독서의 중요성을 알고 유아 때는 물론 초등학생 교육 시기에 이러한 독서 방식을 계속해서 활용한다면 앞으로 정보 습득에 있어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될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구요. 나가시기 전에 저의 포스팅 된 글 주변에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는지 한 번 둘러봐주세요.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으면 가서 읽어보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구경하시면 됩니다.
그럼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초등 교육 > 독서와 학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독서의 중요성 어휘력 늘리는 방법 (0) | 2022.09.12 |
---|---|
서울대 명문대 가기 위한 전략 공부할 때 구조화 학습법은 어떻게 하는 걸까? (0) | 2022.08.21 |
초등 학생 독서 습관 갖추게 하는 방법 (0) | 2022.08.17 |
유아 초등학생 부모 모두 독서 교육의 중요성을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2.05.15 |
초등학생 교육 - 독서 책 읽기는 왜 중요할까? (0)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