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특수교육 긍정적행동지원 공부하기 행동의 기능평가란?

2022년 08월 31일 by 희망사랑쭌

    초등 특수교육 긍정적행동지원 공부하기 행동의 기능평가란? 목차

안녕하세요. 

초보박사의 공부일기를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에게 행복이 가득하길 소망합니다.

 

이번에는 행동의 기능평가를  공부해보았습니다. 

 

많은 부모들은  자신의  유아나 초등학생 자녀가  각종 다양한 장면에서 교육이나 훈육 등  시도할 때 아이가 문제 행동을 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런데 이 문제 행동이 부모의 입장에서 문제행동일 뿐이지, 아이의 입장에서는 의사표현 혹은 어떠한 신호일수 있거든요.   이러한 표현의 차이로 인해  아이의 표현이 어떤 표현인지 빨리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기의 행동을 예로 들어볼까요?

 

 

아기 우는 모습
출처- 픽사베이

 

 

아기의 울음 소리를 들어보면,  분유 달라는 표현,  생리현상 표현,  안아 달라는 표현 등 의사 표현이  한 신호에 다 담겨져 있습니다.

 

그런데 초보 양육자의 입장에서는  이 아기 울음소리가 어떤 표현인지 어떤 기능을 하는건지  바로 파악하기 쉽지 않죠. 

 

따라서  아기가  혹은 자녀가 표현하는 행동 표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아기가 이 행동을 통해 무엇을 이루려고 하는지 알아야 하는 과정이 필수겠지요.  

 

여기서는  자녀의 문제 행동의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과  문제 행동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등  문제 행동의 기능을  찾아보는 방법 즉, 기능평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여기서는 내용 길이의 문제로  기능평가의 의의만 설명해볼게요.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가 서로를 향해 고함 지르는 모습
출처- 픽사베이

 

 

1. 기능평가의 목적과 의의

 

먼저 기능평가를 하는 이유가 뭘까요?  

 

바로 '문제행동을  발생시키거나 유지하게 해주는 환경 요인들을 찾아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2. 행동의 기능평가란? 

 

그렇다면 기능평가란 뭘까요? 

 

바로 위에서 설명한 목적에서  "문제행동을 예측하게 해주는, 문제행동을 유지하게 하는 환경요인을 찾아내는  그러한 과정이 행동의 기능평가"라고 합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 설명하면

 

"문제행동과 기능적 관계가 있는 선행사건이나 후속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 이라고 하네요.  보시면  정보 수집이 포인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기능적 관계라는 것은   선행사건 -> 행동 -> 후속결과 가 나타날 수 있는 것과 같은 예측 가능한 관계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날씨가 너무 덥습니다. -> 그러면 반팔 옷을 입는다. 에어콘을 켠다  등 다양한 액션을 취하겠죠  ->  더운 상태가 줄어진다  시원하다.   이렇게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하나의 사건을 통해  후속 결과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예측할수 있는 관계인겁니다. 

 

 

다음은 기능평가를 통해 얻는 이점을 이야기하려고 하는데요. 그 전에 잠시 눈 운동을 해보는 휴식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눈을 깜박 거리고, 

-10초 이상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바라보시고, 

-눈동자를 좌우, 상하, 대각선으로 굴려보세요~

 

다 끝나셨나요?  그러면 다음으로 넘어가시기 전에   저의 포스팅 된 글 주변에  도움되는 정보들이 많으니 한 번 둘러봐주세요.  여기에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다면  읽어보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마음 편히 안심하고 구경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3. 기능평가를 통해 얻는 이점

 

 

1) 가정적 진술 설정

 

가정하다를 국어사전으로 정의하면 

 

-사실이 아니거나 또는 사실인지 아닌지 분명하지 않은 것을 임지로 인정하다. 

-결론에 앞서 논리의 근거로 어떤 조건이나 전제를 내세우다. 

-정리에서, 어떤 조건을 임시로 내세우다.

 

인데요. 여기서 가정적 진술은  앞서 기능평가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통해 특정 아동의 문제 행동의 기능이 무엇인지  임시로 ( 또는  어떤 조건이나 전제를) 예측하는 진술을 하는거죠.  ( 제 기준에서 이해를 해보았는데요.  여러분도 해석해보세요.)

 

2) 관찰자료 수집

 

이 부분은 저의 이해가 헷갈리긴하는데요.  최대한  이해해보면 행동의 기능평가는  그 과정에서 정보를 수집하게 되고 이렇게 수집한 관찰 결과 (정보)들을 통해 가설을 개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능평가를 통해 만들어진 관찰 결과 자료들이 이미  있기 때문에  쉽게 수집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이해를 해보았습니다. ( 제가 틀릴수 있으니 여러분들도 따로 공부해서 해석해보세요. 이 글은 참고만 해주시길)

 

 

3) 앞으로 행동 지원 계획

 

앞서 행동의 기능평가 목적은   '문제행동을  발생시키거나 유지하게 해주는 환경 요인들을 찾아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라는 설명을 드렸죠.

 

여기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 행동을 발생 시키거나 유지하게 해주는 요인과 문제 행동의 기능 등을 파악한 관련 자료를 통해서  해당 아동의 문제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지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중재 혹은 행동 지원을 계획하게 됩니다 .

 

4) 행동 중재의 오류 감소

 

이 내용은 말 그대로  정보를 알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과  정보를 알지 못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 차이인데요.   

 

기능평가를 통해 수집한  아동의 문제 행동의 다양한 관찰 자료에서 행동을 악화 시킬 수도 있는 위험 요인들을 사전에 찾아내서   중재의 실패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4. 정리하며...

 

따라서 행동의 기능평가는 특정 아동의 문제 행동에 유지하고 발생하는 것에 대한  환경 요인들을 찾아내는 과정으로  그 목적은  바로 효과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위에 살펴보면 기능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중재의 효과와 효율성 극대화 라는 점이 보이실거에요. 

 

따라서 저는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해 파악하고 지원하려면  우선적으로 가장 기초가 되는 작업이 바로  행동의 기능평가 라는 것을 여기서 확인 할수가 있었습니다. 

 

유아나 초등학교, 중학교 등 다양한 연령 대에서 부모의 자녀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 행동을 표현할텐데요. 부모가 자녀의 문제 행동에 대해 효과적인 교육과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행동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행동의 기능평가에 대한 지식 습득이 필수적이겠죠?!

 

- 위 내용은 개인적으로 전공서적을 통해서  공부한 내용이므로  본인 공부를 위한 참고사항으로만 파악해주세요. -

 

이렇게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면서  나가시기 전에  저의 포스팅 된 글 주변에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는지 한 번 둘러봐주세요.   관심이 있는 정보가 있으면 가서  읽어보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안심하고 구경하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